1. 갯녹음의 정의
2. 갯녹음의 원인
3. 갯녹음 해결방안
1. 갯녹음의 정의
갯녹음이란 조간대의 해조류가 녹아 유실되는 현상을 뜻하는 순 우리말입니다. 위와 같은 현상은 다양한 용어로 통용되고 있으며, 영어로는 whiterning, whiting event, barren ground, sea urchin barren이라는 단어로 사용되며 한자로는 백화현상이라고 설명합니다. 위의 단어들을 볼 때 쉽게 연상되는 내용은 하얗게 변화는 현상을 뜻하는 내용이며, 위 용어 중 특히 sea urchin은 성게를 뜻하게 되는데, 성게에 의해 해조류가 불모지가 된다라고 쉽게 이해가 가능 합니다. 갯녹음에 대하여 다시 쉽게 정의 하자면, 녹조류, 갈조류(대롱편모조식물문), 홍조류이 암반을 뒤덥고 있어야 하나,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이러한 해조류가 모두 죽은 후 암반에 바로 착생하여 있던 무절산호조류가 고사하여 백색을 띄어 암반이 하얗게 변하는 현상을 의미 합니다.
2. 갯녹음의 원인
갯녹음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환경적요인, 물리적요인, 생물학적 요인으로 크게 3가지가로 구분이 가능하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수온의 증가, 탁도의 증가와 같이 해조류가 서식하기 어려운 조건이 되는 요인이 있으며, 물리적 요인으로는 외부 파력, 부유사에 의한 물리적 타격이 있으며,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조식성 어류 혹은 패류에 의한 피해가 있다. 조식성 어류, 패류란 해조류를 먹이로 섭이하는 생물을 뜻하며 조식성 어류에는 독가시치가 대표적인 어류이며, 패류에는 전복, 소라가 있고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 성게이다.
3. 갯녹음의 해결방안
해결방안으로는 위의 원인을 분석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며, 환경적, 물리적 요인은 인위적인 노력에 의하여 개선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국가에서는 정책사업으로 바다숲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바다숲 조성사업은 연안암반생태계의 해조류 확산을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사업으로 전국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수행방법으로는 인공어초 시설 및 해조류의 보식, 자연석의 시설, 갯닦기 등이 있다. 인공어초의 해조류 보식의 목적은 보식된 해조류가 성숙하여 포자가 확산되어 암반의 해조류 복원을 목적으로 추진되며, 자연석의 시설은 암반 확대에 따른 해조류 부착기질 마련이다. 갯닦기 같은 경우는 암반에 부착되어 있는 무절산호조류를 제거하여, 해조류의 포자가 부착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추진되는 사업이다.
'1. 수산(Fish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넙치(광어)의 특징과 양식방법 (60) | 2023.07.09 |
---|---|
천해(앞바다)에서 가장 많이 양식된 생물은 어류? 해조류? 패류! (61) | 2023.07.01 |
꼬막의 종류, 특징, 분포, 생태 및 성숙 (19) | 2023.06.28 |
[바다의 구조] 2. 해수의 성질과 구조 (16) | 2023.06.28 |
[바다의 구조] 1. 지형학적 구조의 특징 (15) | 202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