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류는 유영능력이 뛰어나 이동성이 강합니다. 주로 양식하는 품종으로는 해산품종으로는 넙치, 조피볼락, 돔류이며, 담수 품종으로는 연어 잉어, 뱀장어 등이 있습니다. 어류의 양식은 다량의 물을 보유하고 있는 수조시설을, 도피방지 시설, 수질관리시설을 구비하여야 하며, 주 양식 방법으로는 못양식, 가두리양식, 순화여과식, 유수식 등이 입니다. 이제 넙치의 특징과 양식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넙치의 분포 및 특징
- (학명) Paralichthys olivaceus / (영멍) Olive flounder
- (분포)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의 연안에 폭넓게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전 연안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어류이다. 분포 수심은 10~200m로 넓은 분포 특징을 보인다.
- (먹이) 소형어류 나 갑각류를 주요 먹이로 하는 육식성 어류이다
- (산란) 5~6월로 수심 20~50 m의 조류의 흐림이 좋은 사질대 혹은 암반 근처에서 산란하며, 난은 분리부성란이다.
- (난卵) 한 마리의 하루 평균 산란수는 100만 개이며, 총 산란수는 1,000만~3,600만이며, 부화까지 48시간이 소요된다.
- (특징 1) 부화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는 보통어류와 동일하게 좌우에 눈이 배치되어 있으나, 성장을 거쳐 저서생활을 할 때 눈이 한쪽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눈이 왼쪽에 모여있으면 넙치이고, 오른쪽에 몰여 있으면 도다리, 가자미입니다.
- (특징 2) 체표면이 넓은 광(廣)어라고 불리며 대표적인 흰살생선으로 양식되고 있습니다.
2. 넙치 양식
- (개요) 넙치는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고급어종으로 많이 양식되어 왔으며, 조피볼락과 함께 주요 해수어 양식 대상종이다. 넙치는 고밀도 사육이 가능하며, 성장이 빨라 1년 양식할 경우 1kg까지 성장이 가능하며 가식부가 높은 특징을 보인다.
- (친어관리) 종자생산에 사용하는 친어는 2-3년 성장된 우량어종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1m2(평방미터) 당 1-2마리를 수용하고, 암수의 비율은 1:2로 관리한다.
- (채란) 성숙한 어류가 산란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호르몬제를 주사하여 1~2일간 완정 성숙을 유도한 후 채란하여 인공 수정을 시키거나, 환경 등을 관리하여 자연 산란시키는 방법이 있다.
- (산란) 주요 산란시간은 오전 9~12시 사이이며, 수정란은 18~20도에서 48-50시간이 경화하면 부화하며, 부화한 자어는 2.5-3.0 mm에 달하며 난황을 달고 있다. 난황을 모두 흡수하면 먹이를 먹게 된다.
- (먹이) 주요 먹이는 난황을 흡수한 후 로티퍼, 알테미아 순으로 먹이를 급이하며, 부화 후 3-4일 동안 난황을 흡수한다.
- (식용어 양성_시설) 육상 양식시설의 설치 장소로는 수질이 적당하고 수질변화가 적은 용수 확보가 가능한 곳이어야 하며, 수조는 콘크리트, FRP, 나일론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대부분 PP재질의 수조를 주요 사용한다. 육상 양식시설의 경우 배출수에 포함된 사료 찌꺼기, 배설물 등의 수질정화를 위한 적절한 침전조의 시설이 필요로 된다. 최근에는 사육수조 외의 침전조와 생물여과 등의 시설을 갖춘 순환여과식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 (식용어 양성_방양) 육상수조식 양식 시설에서의 방양량은 사육용수의 수질과 환수율 및 어제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지나친 고밀도 사육은 성장 둔화와 사료 효율저하로 폐사율도 높아딘다. 사육 적수온은 20-25도이며 2시간에 1회 회전을 할 경우 1평 방미 터앙 5-15 kg가 필요하다(전장이 30 mm이상이 되면 7-8회 환수한다/자어일 때)
- (식용어 양성_먹이와 성장) 양성을 시 잘할 때의 치어의 먹이는 새우, 까나리, 오징어, 멸치, 전갱이 등을 분말 배합사료와 혼합한 습사료(moist pellet)이나 치어요 배합사료를 입의 크기에 맞춰 공급하여야 하며, 치어기에는 4~5회 먹이를 공급하고, 성장에 따라 2~3회 나누어 공급하여야 한다.
728x90
반응형
'1. 수산(Fish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녹음 현상에 관하여 (31) | 2023.07.31 |
---|---|
천해(앞바다)에서 가장 많이 양식된 생물은 어류? 해조류? 패류! (61) | 2023.07.01 |
꼬막의 종류, 특징, 분포, 생태 및 성숙 (19) | 2023.06.28 |
[바다의 구조] 2. 해수의 성질과 구조 (16) | 2023.06.28 |
[바다의 구조] 1. 지형학적 구조의 특징 (15) | 202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