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꼬막의 특징과 종류
2. 종류와 분포
3. 성숙
1. 꼬막의 특징과 종류
꼬막류에 가장 오래된 기록은 정약전의 자산어보에서도 볼 수 있다. 자산어보에서는 꼬막이나 새꼬막은 바닥에 씨를 뿌려 가꾸며, 육질은 누렇고 맛은 달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을 바탕으로 볼 때, 꼬막류는 150여 넌 전부터 양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꼬막류 가운데 새꼬막의 자연 채묘는 일본에서 1916년경부터 실시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피조개는 진해만에서 1933~1934년 사이에 부유생활을 관찰했고 자연채묘가 시도되었다는 보고가 있다(이 때는 해방 전으로 일본인이 선호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꼬막은 과거에 전량 수출되는 품종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 산업적으로 양식 및 생산되는 꼬막류는 꼬막(Anadara granosa), 새꼬막(Anadra subcrenata), 큰이랑피조개(Anadara satowi)와 피조개(Anadara broughtonii) 등이 있다. 이 중 피조개가 마리당 단가가 가장 높다.
* 위 사진은 식품의약품 안전처의 이미지이며, 참꼬막은 꼬막, 피꼬막은 피조개입니다!!!
2. 종류와 분포
꼬막류는 돌조개과에 속해는 이매패류로서, 돌조개과에는 복털꼬막아류, 육중꼬막아류 및 꼬막아류가 있고 29여 종이 한국연안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이 중 산업종으로 가치가 높은 종은 모두 꼬막아류에 속하는 종이다. 꼬막아류에는 9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 연안에는 꼬막, 오가꼬막, 새꼬막, 대득꼬막, 큰이랑피조개, 피조개가 우점하고 있다.
- (피조개) 크기가 가장크고 육질이 연한 것이 특징이며 그 색도 가장 붉은 편이다. 방사능수는 41개 정도로 꼬막류 가운데 가장 깊은 곳에 서식하며 한국 남해안에 주로 분포한다. 분포수심은 최대 50m이다.
- (큰이랑피조개) 피조개와 형태는 비슷하나 크기가 조금 작고 육질은 비교적 단단한 편이고 색이 희미한 것이 피조개와 차이를 보인다. 방사능수는 43개 정도로 꼬막류 중에서 가장 많으며, 패각두 두터운편이다. 분포수심은 수 m~30로 이며 서해안에 주로 분포하나 남해안의 서부에서도 발견되는 외해성 패류이다.
- (새꼬막) 꼬막류 중에서 크기는 중형이며, 방사늑수는 31개 정도이다. 육질의 색인 피조개에 비해 붉은색이 희미한 편이며, 남해안과 서해안에 분포하고 조간대에서 수심 10에서도 발견되는 특징을 보인다
- (꼬막) 꼬막류 중에서 가장 소형이며 방사늑수는 18개로 가장 적도, 또한 붉은색도 가장 희미한 특징을 보인다. 주로 남해안과 서해안에 주로 분포하며 연안에서 쉽게 발견되는 천해성 패류로 조간대에 서식한다.
* 피조개는 헤모시아닌이 아닌 헤모글로빈이 체내의 혈액에 있어 붉은색을 띠게 됩니다. 헤모글로빈은 붉은색을 띠며, 헤모시아닌은 청색을 띠게 됩니다.
구 분 | 꼬막 | 새꼬막 | 큰이랑피조개 | 피조개 |
방사늑수 | 16~20(18) | 26~34(31) | 41~47(43) | 36~46(41) |
수직분포 | 조간대 | 조간대~10m | 수~30 m | 수~50 m |
크기(각장) | 4.1 cm | 7.4 cm | 11.4 cm | 11.8 cm |
3. 성숙
꼬막류의 성숙은 서식 장소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성숙기는 대체로 7월부터 10월까지 사이이다. 성숙이 가장 빠른 종은 천해성 패류인 꼬막으로 7월 중 대부분이 산란을 마치지만 8월 상순까지도 계속 되기도 한다. 한편, 새꼬막은 꼬막에 비해 다소 늦은 편으로 7월 하순부터 8월 하순이 주 산란기이다. 큰이랑피조개와 피조개는 꼬막류 중에서 성숙기가 가장 늦어 8월부터 9월 사이가 주 산란기이다. 피조개는 위치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며, 남해안의 동부 연안은 9월 하순 때로는 10월 상순까지도 산란이 계속되지만, 남해 서부 연안에서는 늦더라고 9월 중순이면 산란을 모두 마치는 차이점을 보인다. 이는 같은 품종이더라도 모패가 서식하고 있는 장소에 따라 성숙 시기가 다소 다를 뿐만 아니라, 해당 연도의 수온에 따라 성숙시기가 차이가남을 알 수 있다.
* 성숙한 꼬막의 암, 수는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며, 새꼬막의 경우 암컷 개체(난소)의 색은 주홍색(피조개: 도홍색)이며, 수컷 개체(정소)는 우윳빛을 띤다.
'1. 수산(Fish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넙치(광어)의 특징과 양식방법 (60) | 2023.07.09 |
---|---|
천해(앞바다)에서 가장 많이 양식된 생물은 어류? 해조류? 패류! (61) | 2023.07.01 |
[바다의 구조] 2. 해수의 성질과 구조 (16) | 2023.06.28 |
[바다의 구조] 1. 지형학적 구조의 특징 (15) | 2023.06.27 |
우리나라 연안 해조류 수직분포 (31)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