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천해양식 지역별 현황(건수, 면적)
2. 품종병 현황(건수, 면적)
3. 지역, 품종별 현황(생산량)
자세한 설명에 들어가기 전 천해양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얕을 천(淺), 바다 해(海) 즉 수심이 얕은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앞바다에서 이루어지는 양식을 뜻합니다. 천해양식의 품종은 크게 해조류와, 패류, 어류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아래의 모든 자료는 2017~2022년도의 해양수산 통계연보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천해양식 지역별 현황(건수, 면적)
최근 5년간(2022년도 제외) 전국의 천해양식의 건수와 면적을 비교해 보면, 천해양식의 전국 건수는 2018년 10,061건에서 2021년 9,963건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면적 또한 161,320ha에서 160,929ha로 감소하고 있다. '21년도 기준 천해양식의 건수가 가장 높은 곳은 전남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경남, 충남 순으로 나타났다. 총건수가 9,963건인 것에 비하여 전남이 5,400건으로 5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라남도에서 천해양식 건수와 면적의 비중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 전라남도해역은 김, 미역 등 해조류 생산량의 1위를 차지하는 지역이다.
- 해조류 뿐만아니라 넓은 갯벌이 분포하고 있으며, 새꼬막, 바지락 등 많은 패류가 분포하고 채취하고 있다.
- 또한, 경상남도와 같이 굴을 양식하는 지역이다.
지역별 | 2018년도 | 2019년도 | 2020년도 | 2021년도 | ||||
건수 | 면적(ha) | 건수 | 면적(ha) | 건수 | 면적(ha) | 건수 | 면적(ha) | |
합계 | 10,061 | 161,320 | 10,045 | 161,750 | 10,003 | 161,463 | 9,963 | 160,929 |
부산 | 115 | 1,227 | 114 | 1,174 | 114 | 1,174 | 114 | 1,174 |
인천 | 202 | 1,754 | 202 | 1,754 | 195 | 1,647 | 197 | 1,660 |
울산 | 56 | 416 | 54 | 405 | 54 | 404 | 54 | 404 |
경기 | 21 | 923 | 20 | 921 | 20 | 921 | 20 | 921 |
강원 | 220 | 6,208 | 221 | 6,040 | 215 | 5,984 | 212 | 5,929 |
충남 | 748 | 8,961 | 745 | 8,798 | 733 | 8,744 | 729 | 8,715 |
전북 | 413 | 5,973 | 374 | 5,378 | 397 | 5,661 | 390 | 5,636 |
전남 | 5,454 | 120,026 | 5,479 | 121,487 | 5,425 | 120,697 | 5,400 | 120,286 |
경북 | 459 | 3,214 | 459 | 3,214 | 458 | 3,215 | 453 | 3,207 |
경남 | 2,325 | 11,811 | 2,328 | 11,767 | 2,333 | 11,798 | 2,338 | 11,784 |
제주 | 48 | 808 | 49 | 813 | 59 | 1,218 | 56 | 1,213 |
2. 품종별 현황(건수, 면적)
천해양식 현황을 품종별로 구분하면 해조류, 패류, 어류 등으로 구분되며, 패류, 해조류, 어류 순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조류는 건수와 면적에서 김과 미역이, 패류에서는 굴과 새고막, 어류 등에서는 어류와 우렁쉥이가 천해양식 건수와 면적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사업대상 종인 가리비의 경우 전체 건수와 면적에서 0.2~0.5%의 범위를 보여 천해 양식품종 중 비중이 낮은 특징을 보였다.
천해야양식에서 품종은 무엇일까?
- 건수와 면적이 가장 많은 것은 굴, 새꼬막, 전복, 김 순으로 높다.
- 위의 내용과 연결시켜 볼 때, 굴, 새꼬막, 김, 전복 모두 전라남도에서 천해에서 많이 생산되는 품종으로 전남권에서 왜 천해양식의 비중이 높은지 알 수 있다.
품종별 | 2018년도 | 2019년도 | 2020년도 | 2021년도 | |||||
건수 | 면적(ha) | 건수 | 면적(ha) | 건수 | 면적(ha) | 건수 | 면적(ha) | ||
합계 | 10,061 | 161,320 | 10,045 | 161,750 | 10,003 | 161,463 | 9,963 | 160,929 | |
해조류 | 2,047 | 89,130 | 2,070 | 90,421 | 2,144 | 90,725 | 2,129 | 90,411 | |
해 조 류 |
김 | 792 | 62,448 | 806 | 63,526 | 820 | 63,581 | 812 | 63,266 |
미역 | 610 | 16,727 | 626 | 17,161 | 696 | 17,393 | 678 | 17,096 | |
다시마 | 361 | 5,780 | 344 | 5,371 | 348 | 5,308 | 360 | 5,644 | |
파래 | 60 | 1,138 | 61 | 1,153 | 59 | 1,052 | 59 | 1,052 | |
톳 | 101 | 1,401 | 117 | 1,567 | 110 | 1,818 | 109 | 1,804 | |
참모자반 | 33 | 241 | 27 | 250 | 22 | 165 | 25 | 210 | |
기타 | 90 | 1,395 | 89 | 1,394 | 89 | 1,407 | 86 | 1,339 | |
패류 | 5,274 | 43,770 | 5,238 | 43,115 | 5,234 | 43,178 | 5,226 | 43,048 | |
패 류 |
굴 | 1,288 | 7,175 | 1,297 | 7,147 | 1,284 | 7,078 | 1,277 | 7,021 |
피조개 | 692 | 6,533 | 692 | 6,476 | 690 | 6,522 | 689 | 6,516 | |
바지락 | 572 | 5,674 | 563 | 5,376 | 570 | 5,462 | 565 | 5,433 | |
고막 | 203 | 2,913 | 202 | 2,913 | 197 | 2,849 | 195 | 2,821 | |
가무락 | 109 | 1,025 | 102 | 871 | 111 | 975 | 107 | 911 | |
새꼬막 | 1,093 | 11,961 | 1,096 | 12,020 | 1,115 | 12,184 | 1,121 | 12,259 | |
백합 | 17 | 169 | 14 | 142 | 11 | 109 | 11 | 109 | |
홍합 | 215 | 904 | 215 | 902 | 216 | 903 | 225 | 933 | |
가리비 | 48 | 403 | 49 | 396 | 49 | 404 | 48 | 424 | |
전복 | 921 | 5,827 | 902 | 5,787 | 893 | 5,664 | 889 | 5,570 | |
진주조개 | 24 | 73 | 23 | 68 | 21 | 66 | 21 | 66 | |
개량조개 | - | - | - | - | - | - | - | - | |
동죽 | 3 | 28 | - | - | 2 | 15 | 2 | 15 | |
기타 | 89 | 1,085 | 83 | 1,018 | 75 | 949 | 76 | 969 | |
어류 등 | 1,091 | 5,185 | 1,086 | 5,245 | 1,087 | 5,250 | 1,078 | 5,258 | |
어 류 |
어류 | 397 | 1,369 | 396 | 1,468 | 398 | 1,502 | 384 | 1,449 |
새우 | 67 | 373 | 62 | 329 | 62 | 327 | 66 | 346 | |
우렁쉥이 | 321 | 1,118 | 323 | 1,175 | 321 | 1,141 | 319 | 1,154 | |
해삼 | 157 | 1,373 | 160 | 1,447 | 159 | 1,443 | 163 | 1,483 | |
미더덕 | 135 | 519 | 135 | 519 | 136 | 519 | 136 | 518 | |
기타 | 14 | 433 | 10 | 307 | 11 | 317 | 10 | 307 |
3. 지역, 품종별 현황(생산량)
지역별 천해양식 품종의 생산량을 살펴보면 전라남도에서 1,811,551MT로 가장 높았으며, 생산현황이 없는 곳을 제외하고 울산에서 2,479MT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전라북도의 경우 총 생산량은 55,143MT이며, 이중 해조류의 생산량이 35,132MT로 63%의 비율로 가장 높았다.
구분 | 2021년도(단위: MT) | |||||
합계 | 어류 | 갑각류 | 패류 | 기타 | 해조류 | |
합계 | 2,397,490 | 89,436 | 9,545 | 429,921 | 22,907 | 1,845,682 |
부산 | 35,365 | 251 | - | 2,143 | 326 | 32,645 |
대구 | - | - | - | - | - | - |
인천 | 6,665 | - | 304 | - | - | 6,362 |
광주 | - | - | - | - | - | - |
대전 | - | - | - | - | - | - |
울산 | 2,479 | 208 | - | 7 | - | 2,184 |
세종 | - | - | - | - | - | - |
경기 | 26,103 | - | 411 | - | - | 25,692 |
강원 | 3,627 | 102 | 6 | 209 | 3,307 | 3 |
충북 | - | - | - | - | - | - |
충남 | 65,756 | 3,868 | 1,790 | 13,101 | 16 | 46,981 |
전북 | 55.143 | 1,042 | 666 | 18,302 | - | 35,132 |
전남 | 1,811,551 | 28,725 | 6,105 | 92,846 | 82 | 1,683,793 |
경북 | 6,051 | 4,163 | 1 | 2 | 1,480 | 405 |
경남 | 360,243 | 26,560 | 215 | 303,286 | 17,697 | 12,485 |
제주 | 24,507 | 24,435 | 48 | 24 | - | - |
천해양식에서 패류의 생산건수와 면적이 비중이 높은데 생산량도 그러한가?
- 아이러니 하게도, 가장 많은 생산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해조류이다.
- 가장 많이 양식되는 해조류는 무엇인가? 정답은 김, 미역, 다시마이다. 이 중 김은 일본으로의 수출과 자국의 수요가 높다.
'1. 수산(Fish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녹음 현상에 관하여 (31) | 2023.07.31 |
---|---|
넙치(광어)의 특징과 양식방법 (60) | 2023.07.09 |
꼬막의 종류, 특징, 분포, 생태 및 성숙 (19) | 2023.06.28 |
[바다의 구조] 2. 해수의 성질과 구조 (16) | 2023.06.28 |
[바다의 구조] 1. 지형학적 구조의 특징 (15) | 202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