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형적 구조]
지구 표면의 바다는 전체 면적의 71%를 차지하며, 지구 전체의 물의 양의 97%는 바다에 있다. 이처럼 수계 생태계에서 바다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 지구의 단단한 표면의 절반 이상이 최소한 수심 3,000 m 이상이며, 전 세계 해양의 평균 수심은 3,790m이다. 이러한 값은 육지의 평균 고도인 840 m 값과 크게 대비되는 수치이다. 또한 마리아나 해구(필리핀 동쪽)의 깊이는 11,034 m 에베레스트 산(8,850 m)과 비교해 보아도 큰 차이를 보인다.
1. 해양의 구조
1.1. 대양과 부속해
1.2. 그 밖의 바다
2. 해저 지형
2.1. 대륙 주변부
2.2. 대양저
2.3. 대양저 산맥
1. 해양의 구분
바다는 전통적으로 대륙 경계나 적도 같은 가상의 선을 사용하여 대양과 부속해 등으로 인공적으로 구분하여 표현한다. 바다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지만 지구에 연결된 하나의 바다로 볼 수 있다.
1.1. 대양과 부속해
대양은 규모가 크고, 지리적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자체의 특징적인 수괴, 해ㅠ, 해저지형을 가진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이 있다. 이러한 대양은 바다의 89%를 차지하며, 이 중 태평양(45.8%), 대서양(20.3%), 인도양(20.3%)순으로 비중이 높다.
부속해는 대양의 일부가 본체에서 분리되어 있는 작은 바다를 뜻하며 반도, 섬등에 의해 대양에서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는 바다를 연해(marginal sea)라고 하고, 육지로 둘러싸여 고립된 정도가 큰 바다를 지중해(mediterranean sea)라고 표현한다. 북극해는 대서양의 부속해이며, 남극해는 남극 주위에서 세 대양이 만나는 부분을 뜻한다.
- (연해) 동해, 동중국해, 남중국해, 오호츠크해, 베링해, 북해
- (지중해) 유럽과 아프리카 사이에 있는 지중해, 흑해, 멕시코 만, 카리브해, 페르시아 만, 홍해, 발트해 등
1.2. 그 밖의 바다
두 개의 바다를 연결하는 육지 사이의 통로를 해협이라고 하며, 대만해협(동해와 남해를 연결하는 해협)이 대표적인 예이다. 규모가 작은 바다는 특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육지 쪽으로 해안선이 들어가 반폐쇄성이지만, 바닷물의 순환이 자유로운 바다는 만이라고 불리며, 강의 어귀에 작은 만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으나, 강물의 유입이 되는 곳은 하구라고 표현한다.
2. 해양 지형
바다는 지구 표면의 낮은 곳에 물이 고여 만들어 졌으며, 해저 지형의 단면을 구분하자면, 대륙 주변부, 대양저, 대양저 산맥으로 구분된다.
2.1. 대륙 주변부
대륙의 잠겨 있는 가장자리로서 지질학적 특징이나 구조 등이 대륙의 연장이기 때문에 대륙 주변부라고 표현하며, 이곳은 대륙붕, 대륙사면, 대륙대로 상세하게 구분된다.
- (대륙붕) 경사가 1/500 정도로 평탄하며, 총 바다면적의 7.4% 정도 된다. 바다 쪽 끝 부분을 대륙붕단이라 하며, 그 깊이는 지역에 따라 다르나 전 세계 평균은 약 140 m이다.
- (대륙사면) 경사가 1/20 정도로 비교적 급경사로 심해저로 바뀌는 부분이다. 퇴적물은 미질이 주로 분포하며, 퇴적물이 뒤 썩인 혼탁한 저 탁류가 발생하며 이로 협곡이 나타난다.
- (대륙대) 대륙사면의 기저부를 뜻하며, 경사는 1/160 정도이다.
2.2. 대양저
대양저는 지구 표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경사가 매우 완만하며 수심은 4,000 m 이상이다
2.3. 대양저 산맥
대양저에는 지구 둘레의 1.5배에 해당하는 산맥이 분포하며, 산맥의 높이는 2,000m이상 폭은 1,000 km이상이 되는 큰 규모이고, 지구 표면의 22%나 차지하게 된다.
'1. 수산(Fish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막의 종류, 특징, 분포, 생태 및 성숙 (19) | 2023.06.28 |
---|---|
[바다의 구조] 2. 해수의 성질과 구조 (16) | 2023.06.28 |
우리나라 연안 해조류 수직분포 (31) | 2023.06.26 |
한국에서 생산되는 가리비의 종류와 특징 (5) | 2023.06.24 |
질산화과정과 탈질화 과정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