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수산(Fishery)

우리나라 연안 해조류 수직분포

반응형
1. 수직분포란?
2. 해조류의 수직푼포가 발생하는 이유
3. 수심별 분포 현황
1. 수직분포란?

수심별로 상이하게 나타는 분포특징을 수직분포라고 표현하며 이러한 특징은 이동성이 강한 어류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고착생활을 하는 해조류와 부착동물(패류, 해면동물 등)에서 쉽게 발견된다. 

 

해조류는 크게 녹조식물문, 갈조식물문(現 대롱편모조식물문), 홍조식물문으로 구분되며 각 가지고 있는 광합성색소가 다릅니다.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은 엽록소 a이며 자세한 특징은 아래 표와 같이 서술하겠습니다. 아래 표와 같이 가지고 있는 광합성 색소가 다르며, 저장물질 또한 차이를 보입니다.

통상적으로 녹조식물문은 얕은 수심대에, 홍조식물문은 깊은 수심대에, 갈조식물문은 위의 사이에 발견된다고 설명되지만, 실제 조간대(수심 0-5 m)에서도 3종이 모두 발견됩니다.

일반적으로 해조류의 수직분포는 보생적응설(complemetary adaption therory)로 설명되며 이는 해조류의 광합성은 해조의 보색 색광을 잘 흡수한다는 이론입니다. 요약하자면 녹조류는 붉은색인 장파장을 홍조류는 자색인 단파장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수심별 분포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 단파장 : 푸른색 빌을 내는 파장 360 nm~480 nm의 범위 / 장파장 : 붉은색을 내는 파장으로 560~780 nm의 파장

* 해조류의 수직분포 외의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빛으로 투명도가 낮아 빛이 공급이 불가능한 곳은 해조류의 서식이 불가능하며, 동해와 같이 투명도가 높은 곳에서는 깊은 곳에서도 해조류가 쉽게 출현이 가능합니다.

구  분 광합성 색소 저장물질
녹조류 엽록소 a&b, 베타카로틴, 루테인, 엽황소 녹말
갈조류 엽록소 a&c, 카로틴, 크산토필, 푸코크산틴, 엽황소 라미나란, 만니톨
홍조류 엽록소 a&d, 피코빌린, 크산토빌, 엽황소 홍조녹말
3. 수심별 분포현황
  • 조간대 상부 : 불등풀가사리, 김, 홑파래, 애기우뭇가사리 등
  • 조간대 중부 : 패, 넓패, 지충이, 톳
  • 조간대 하부 : 톳, 진두발, 모자반
  • 조하대 상부 : 미역, 다시마
  • 조하대 중부 : 감태, 곰피
  • 조하대 하부 : 소형홍조류, 떡청각, 무절산호조류

 

* 위에 언급된 해조류는 각 구역별 대표적인 종을 예로 나타낸 것입니다. 특히 지충이의 경우는 조간대 중부부터 조하대까지 넓게 발견되는 해조류입니다.

728x90
반응형